닫기

- 국제한인문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국제한인문학회

홈으로학회지논문검색

논문검색

pISSN: 1738-4249 / eISSN: 2671-989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9 (2021)
pp.131~157

DOI : 10.37643/diaspora.2021.29.5

-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김자순의 행적과 유교 인식 고찰 -

한길로

(길림대학교 강사)

오경양

(동국대 박사수료)

본고는 1900∼1910년대, 중국 북경에 정착한 한인 디아스포라 김자순 (1879∼1916)의 생애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그를 통해 ‘만주와 간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근대기 재중한인 연구의 확대를 시도하면서, 당대 중국에 머 물던 이들의 다양한 삶의 군상에 접근하려 한다. 김자순에 대한 기록은 크게 한국 유림의 기술과 일본 측 정보기관의 문서로 구분되는데 관련 기록은 1914∼1916년까지, 총 3년 사이에 작성되었다. 필자는 이 둘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그의 생애를 잠정 정리했다. 1879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유년 시 절 한국을 떠나 일본으로 건너가 10여 년의 시간을 보내다 1900년을 좌우로 북경에 도착했다. 이곳에 정착한 그는 일본의 밀정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북경일보』의 주필을 맡으며 생활을 이어갔다. 1912년 중국에 입적한 그는 1914 년 공교 운동을 위해 북경을 찾은 이승희와 이병헌을 만나며 자신의 자취를 최초로 드러냈다. 이후 신한혁명당과 신화민단이라는 조직에 가담하며 활동 반경을 소폭 늘렸지만 1917년 37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모어’를 망각하고 ‘모국’을 벗어난 채 이역의 신민으로 살아가던 그는 필담을 통해 이승희와 대 화했다. 필담을 통해 그는 특히 ‘유교(儒敎)’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피력했다. ‘언어’라는 내적 사유 또 ‘국적’이라는 외적 지표를 통 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그는, 바로 유교를 통해 이를 발견하고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해외 한인 독립운동의 특수한 일면을 담고 있는 당시 공교 운동은 사대부들의 집단 이주와 김자순과 같은 정착민의 호응 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A Study on the History and Perception of Confucianism of Kim Ja-Soon, a Korean Diaspora who Lived in China

Han, Gil-Ro

Wu, Jing-Yang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Kim Ja-Soon, a Korean diaspora who lived in Beijing from the 1900s to the 1910s. Through him, I try to find out the lives of Koreans who lived in China and to expand the research on the Korean diaspora during this period. The records of Kim Ja-soon were written and recorded by Koreans and Japanese from 1914 to 1916. Korean records were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nd Japanese records were confidential documents issu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he combined results of these two records are as follows. Born in Seoul in 1878, he moved to Japan as a child and lived there for 10 years. After moving to China, he arrived in Beijing in 1900 and continued to live there. In Beijing, he was a reporter for the Beijing Daily and a secret intelligence officer under the command of the Japanese police. However, he died in 1916, when he was only 38 years old. In 1914, he met with a Korean Confucian scholar Lee Seung-Hee, and expressed his opinion, which was the first record. However, at that time, he forgot Korean and already acquired Chinese nationality. He met Lee Seung-Hee and communicated with her by writing, and the main theme of the conversation was Confucianism. Although he was not a Confucian scholar, he discovered his identity through Confucianism. That is why we do not need to distinguish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Confucianism, he was able to talk about his beliefs, the soul of his country, and his country.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