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국제한인문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국제한인문학회

홈으로학회지논문검색

논문검색

pISSN: 1738-4249 / eISSN: 2671-989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30 (2021)
pp.123~155

DOI : 10.37643/diaspora.2021.30.5

- 김정은 시대 문학에 나타난 여성 형상화 연구 ― 『조선문학』(2016~2019) 수록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고자연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강사)

북한의 여성들은 시대마다 사회적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호명되어왔다. 김정은 체제는 특히 초기부터 여성 관련 정책들을 변경하는 등 여성에 주목해오고 있다. 즉, ‘여성’은 김정은 시대의 북한을 읽어내는 데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2016년에는 제7차 당 대회가 36년 만에 열리기도 했지만, 1983년 제5차 여맹대회 이후 33년 만에 제6차 여맹대회가 열렸고, 이때 ‘조선민주여성동맹’이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으로 그 지위가 승격되었다. 즉 2016년은 김정은 시대와 북한 여성들을 고찰하는 데에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2016~2019년 조선문학에 수록된 단편소설들에 나타난 김정은 시대 여성들은 김정일 시대와 유사하면서도 변별되는 양상을 보인다. 먼저, 여성들이 일터로 소환된다는 측면에서는 김정일 시대와 다르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가두여성(전업주부)이 직업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근로여성이 남성들의 일터로 옮겨가는 특징을 보인다. 두 번째로는 여성들이 가사노동과 육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양상을 보인다. 아내의 사회적 노동을 위해 남편이 집안일과 육아를 돕기도 하지만, 완전한 외조를 하기도 한다. 세 번째로 김정은 시대 여성들은 이전 시대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아졌고, 중앙대학 출신의 전문연구직 여성들도 증가한다. 이들은 사랑보다 일을 선택하고, 인재를 필요로 하는 소외된 지역으로 자원하여 떠나지만, 그녀들이 포기한 사랑 즉 남성들이 그녀들을 선택함으로써 결국 일과 사랑 모두를 쟁취한다. 이는 곧 여성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선택이 남성들을 이끄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남성을 리드하는 여성은 구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한다. 문학작품에 나타난 여성 형상이 곧 현재 북한 여성의 삶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을 반영하는 문학의 특성으로 볼 때, 달라지고 있는 여성 형상은 분명 북한 사회의 여성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Women in the Literature of Kim Jong-un Era ― Focusing on the Short Stories in Joseon Literature (2016~2019)

Ko, Ja-Yeon

Women in North Korea have been na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social needs from time to time. The Kim Jong-un regime has bee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women since the beginning, especially by changing the policies related to women. In other words, ‘women’ is an important keyword for reading North Korea during the Kim Jong-un era. In 2016, the 7th Party Congress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36 years, and the 6th Congress of North Korea Democratic Women’s League was held 33 years after the 5th Congress of North Korea Democratic Women’s League in 1983. At this congress, the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 was promoted to the “Korean Socialist Women’s Alliance.” In other words, 2016 mark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considering the Kim Jong-un era and North Korean women. The women who appeared in short stories in Joseon Literature between 2016 and 2019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ose in the Kim Jong-il era at the same time. First of all, wome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the Kim Jong-il era in terms of being summoned to work;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housewives do not get a job, but working women move to men’s workplaces. Secondly, women are seen free from domestic labor and childcare. Husbands help with housework and childcare for their wives’ social labor, but they also provide full support. Thirdly, women in the Kim Jong-un era have a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verall than in the previous era, and women in professional research from high-ranked universities are also increasing. They choose work over love, and voluntarily leave for the underprivileged areas that require their talent, but as the men they gave up choose them, they eventually win both work and love. This can be seen as an aspect in which women’s voluntary and self-reliant choices lead men. Women who lead men are often portrayed as specific characters. The image of a woman in a literary work cannot be regarded as the life of a North Korean woman. However,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that reflect reality, the changing image of women clearly reflect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women in North Korean society.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