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국제한인문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국제한인문학회

홈으로학회지논문검색

논문검색

pISSN: 1738-4249 / eISSN: 2671-989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30 (2021)
pp.325~356

DOI : 10.37643/diaspora.2021.30.11

- 이성복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정치성 연구 ― ‘유곽’과 ‘돌’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

이혜순

(동국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이 논문은 이성복이 1970년 후반부터 1980년대 초 ‘유곽’에 집중하면서 현재의 비판적 관계 속에서 ‘유곽’을 재구성하고 있다고 보고 그 유곽의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벤야민이 유토피아적 잠재성 개념을 설명하면서, 현재를 깨어있는 세계로 경험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면, 이성복의 텍스트들이 가진 ‘치욕’으로 표상되는 현실의 부조리함과 근대의 표상들은 각성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그의 인식에서 출발하였다고 보았다. 또한, 이성복 텍스트의 ‘돌’ 이미지에는 개인이나 가족의 멜랑콜리가 나타나는데, 돌의 발화에는 ‘자기 몫을 찾기를 촉구하는 목소리’ 혹은 ‘자기 몫이 으스러저 서러워하는 목소리’가 발화되어 있는데, 이는 정치에 직접 참여한 목소리가 아니라 문학을 통한 정치성을 담보한 표현이다. 또한 ‘조각’은 사회적 문제들을 대유한 소재로 볼 수 있는데, 이때 ‘조각’ 이미지는 이성복 시의 ‘유곽’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며, 이 ‘조각’ 이미지에서 사회적 문제의 치욕에 대하여 분노를 폭발시키고 있다. 이성복이 유곽을 말할 때, 세속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는데, 벤야민의 기억의 정치성 이론을 참고하면 이성복 텍스트에서 ‘유곽’이미지는 세속적인 동시에 신학적이며 정치적인 이미지를 함축한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이성복 텍스트에서 유곽이 갖는 의미는 과거의 치욕을 잊지 않기 위한 기억의 정치성으로 ‘돌’의 이미지에 드러난 의미는 소외자들의 정치적 물음으로 ‘조각’ 이미지는 ‘유곽’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해석하였다.

A Study on the Politics of Melancholy in Lee Seong-bok’s Poems ― Focus on the Transformation Aspects of “Yu Gwak” and “Stone” Images

Lee, Hye-So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Yu Gwak” (licensed prostitute quarters) as Lee Seong-bok concentrated on “Yu Gwak” from the late 1970s to the early 1980s and reconstructed “Yu Gwak” in the current critical relationship. Whereas Benjamin emphasized the need to experience the present as a waking world, explaining the concept of utopian potential, the absurdity and modern representations of Lee Sung-bok’s texts began with his perception of moving toward awakening. In addition, the “stone” image in Lee Sung-bok’s texts shows melancholy of an individual or family, in which “voices urging to find their share” or “voices crumblingly grieving about their share” are expressed, not directly participating in politics, but securing its politicality through literature. “Sculpture” can also be seen as a subject of social problems, in which the image of “sculpture” is a response to Lee Sung-bok’s “Yu Gwak” and in this ‘scupture’ image, anger is exploding over the disgrace of social problems. When Lee Seong-bok speaks of Confucianism, he presents a secular image. However, referring to Benjamin’s theory of politicality, the image of Confucianism in his texts implies both secular and theological and political images. In short, the meaning of glaze in the text of Lee Seong-bok was interpreted as a political response to the political question of the marginalized as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memory not to forget the disgrace of the past.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