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국제한인문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국제한인문학회

홈으로학회지논문검색

논문검색

pISSN: 1738-4249 / eISSN: 2671-9894

국제한인문학연구, Vol.34 (2022)
pp.67~96

DOI : 10.37643/diaspora.2022.34.3

- 재외한인문학에서 징용 기억의 재현과 확산 ― 일본과 인니 지역을 중심으로 -

최종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강사)

‘인도네시아’(이하: 인니) 지역 한인 시에 담긴 징용의 기억을 비교 분석하는 일은 디아스포라 연구 분야에서도 가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논의의 사각지대를 메움으로써 재외한인 문학의 폭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는 기존 일본지역에 국한돼 논의돼온 징용의 주제를 적도 지역으로까지 확장하 는 새로운 시도를 진행한다. A·아스만이 '회상'과 관련하여 주장한 기억 활력론에 입각하여 이 사안을 새로이 읽는다. 연구의 과정에서 아래의 결론이 도출 됐다. 첫째, 총련계 재일조선인과 인니 한인 시인은 자신이 발 디딘 상황 속에서 선 세대의 징용을 회상하고 활성화하려 했다. 그러나 그 회상의 기반이 서로 달 랐다. 회상 내용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는 뜻이다. 총련계 재일조선 인에게 기억의 가장 큰 동기는 복수였다. 반면 인니 한인에게는 애도나 추모가 더 먼저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총련계 재일조선인은 기억의 참상을 자주 증언 형식으로 재현했다. 그러나 인니 한인은 신세 한탄이나 연민을 앞세웠다. 둘째, 두 주체에게 징용의 공간은 노예의 공간처럼 기억됐다. 그것은 총련계 재일조선 인에게는 ‘갱도’, ‘다코베야’의 공간으로 인니 한인에게는 ‘무덤’ 등의 자리로 나 타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인니 한인의 시에는 조선인 군무원 이야기가 시작 되는 부분에서 침묵이 감돌고 있다. 그것은 총련계 시와는 다른 내성적 목소리 를 드러내는 순간이다. 이는 총련계 시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살이 찢기고 가정 이 파괴되는 징용 사태에 대한 기억 속에서는, 공화국이나 수령에 대해 맹목적 으로 추종돼 왔다고 알려진 그들의 문학적 관성은 때때로 유예되기도 했다. ‘일본-남양-인니’ 지역으로 건너간 징용자들의 기억을 읽어낸 이 문학적 고찰 은 역사 사료만으로는 잡히지 않는 하나의 목소리를 감지시킬 수도 있다. 그 점 에서, 이 연구는 징용 주제에 대한 문화기억학으로 외연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Reproduction and Spread of Conscription Memory in Overseas Korean Literature ― Focusing on Conscription Memory in Japan and Indonesia

Choi, Jong-H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ll in the blind spots of existing discussions and expand the scope of Korean humanities abroad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memories of conscription contained in Korean poems in ‘Japan’ and ‘Indonesia’. This study makes a new attempt to expand the subject of conscrip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only in Japan to the equatorial region. To this end, this study reads this issue anew based on the memory vitality theory that A·Asman argued in relation to ‘reminiscenc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hongryon-affiliated Korean poets in Japan and Korean poets in Indonesia recalled and revitalized the conscription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situation which they stepped in. However, because the basis of the recollection was different, the contents of the recollection did not necessarily coincide. For Koreans in Japan who belonged to Chongryon, the greatest motive for memory was revenge. On the other hand, for Koreans in Indonesia, condolences and memorials were prioritized. Chongryon-affiliated Korean residents in Japan reproduced the misery of their memories in the form of testimony. However, Koreans in Indonesia put priority on lamentation and compassion. Second, to the two subjects, the space of conscription was remembered as a place of slavery. It was described as a space such as a ‘coal mine’ and ‘dakobeya’ for Chongryon-affiliated Koreans in Japan and a ‘tomb’ for Koreans in Indonesia. And there was a political or religious narrative of salvation. Lastly, in the poems of Koreans in Indonesia, an intimate silence flows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of a Korean military official, revealing an introspective voice different from that of Chongryon poetry. This study reads the memories of conscripts who crossed over to the ‘Japan-Namyang-Indonesia’ region. This literary consideration detects a voice that cannot be captured by historical data alone. In that respect,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expand the topic of conscription into cultural memory studies. Through this, not only will this study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but it can also promote communion with world literature or world culture.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